티스토리

2030 Engineer
검색하기

블로그 홈

2030 Engineer

data2030.tistory.com/m

공부 정리용 블로그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Frame Relay 기존 WAN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통신 방식은 X.25였다. 이 방식은 여러가지 에러 복구 기능 및 흐름 기능 제어 기능이 들어 있다. 하지만 프레임 릴레이 방식은 에러 복구와 흐름 제어 등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Data-Link Connection Identifier(DLCI)는 한마디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위한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나의 링크에 하나씩의 DLCI가 배정된다. 왜냐하면 한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의 논리적 링크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LMI(Local Management Interface)는 DLCI정보와 함께 설정된 PVC 정보와 함께 설정된 PVC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정보와 동작 상태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HDLC보다 괜찮은 PPP 라우터의 시리얼 라인에서 주로 사용하는 HDLC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PPP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통합해서 인캡슐레이션하는 기능, 다양한 보안 기능이 있어 HDLC보다 효과적이다. 특히 시스코 라우터 시리얼 라인에서 이폴트로 사용하는 HDLC는 시스코만의 방식으로 표준 HDLC 프로토콜이 아니다. router(config)#interface serial 1/0 router(config-if)#encapsulation ? frame-relay hdlc lapb ppp smds x25 router(config-if)encapsulation hdlc //시리얼 경우 해주지 않아도 디폴트는 HDLC PPP(point-to-point) 프로토콜은 WAN에서 가장 일반적인, 그리고 가장 괜찮은 인캡슐레이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WAN 우리 곁의 WAN은 바로 전화기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 울리는 휴대폰, 그리고 가정과 사무실에 한 대씩 자리하고 있는 유선 전화기, 팩스, 모뎀 같은 것들이 모두 WAN이다. WAN이란 한마디로 내가 직접 네트워크 케이블을 깔아서 통신을 연결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네트워킹 방식이다. 멀리 있는 사람과 통신하기 위해 그 긴 케이블을 까는 것보다 통신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WAN의 방법은 3가지 정도로 구분이 가능하다. 전용선 방식(Leased Line) : 전화국과 같은 통신사업자에게 통신회선을 임대받아서 쓰는 방식이다. 이미 설치해 놓은 통신회선을 대여해서 쓰는 것. 회선 스위칭 방식(Circuit Switched) : 내가 통신을 하는 순간에만 나에게 필요한 회선을 열어주고 통신..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IP 주소의 변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한쪽 네트워크의 IP주소가 다른 네트워크로 넘어갈 때 변환이 되어서 넘어가는 것. 이러한 NAT는 다음 몇 가지 이유 때문에 자주 시용된다. 내부의 네트워크에는 비공인 IP주소를 사용하고 외부 인터넷으로 나가는 경우에만 공인 IP주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ISP에서 새로운 ISP로 바꾸면서 내부 전체의 IP를 바꾸지 않고 기존의 IP주소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2개의 인트라넷을 서로 합하려다 보니 두 네트워크의 IP가 서로 겹치는 경우 TCP 로드 분배가 필요한 경우 왼쪽의 내부 영역에 있는 비공인 주소거 러우터를 통과하면서 공인 주소로 바뀌게 된다. 우리가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비공인 주소를 'inside local 주소'라고 한다. 외부로 변환되어 나가는 주소를 'ins..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라우터의 장애 대비 HSRP HSRP는 시스코 장비에사만 사용되는 기능이다. 라우터가 고장나는 것에 대비하여 라우터 한 대를 더 구성에 포함한 후 메인 라우터가 고장나면 자동으로 두 번째 라우터가 메인 라우터의 역할을 대신하는 기능이다. 라우터가 두대나 있으니까 라우터가 하나가 죽어도 나머지 하나를 통해서 인터넷을 계속 쓸 수 있을거라 생각하겠지만 사용할 수 없다. PC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세팅한다는 것! 목적지를 찾다 못 찾는 경우 디폴트 게이트웨이에게 가장 먼저 달려갑니다. A 가 디폴트 게이트웨이이고 A 가 연결이 끊어진다면 B는 연결되어 있지만 디폴트가 아니므로 b를 거쳐가지 않을라고 합니다. 게이트웨이를 일일이 B로 바꿔주면 되긴 하지만 큰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HSRP를 사용해서 게이트웨이 ..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2. 18.
  • Extended accesss list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출발지 주소(Source Address)만 제어하는 반면,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출발지 주소와 목적지 주소 모두를 제어한다. 스텐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전체 TCP/IP에 대한 제어만 하는 반면,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ip, tcp, udp, icmp 등 특정 프로토콜을 지정해서 제어할 수 있다.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1에서 99까지의 숫자를 Access List 번호로 사용하고,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100에서 199 까지의 숫자를 Access List 번호를 사용한다. router(config)# access-list access-list-number {permit | deny} protocol source source-wildcard [operator po..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텔넷포트(VTY Port)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텔넷을 한다는 것은 라우터의 Virtual Terminal 포트로 접속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line vty 0 4 password cisco login ! 이 세팅은 텔넷을 접속하기 위한 가상의 포트는 5개 있다는 의미다. 이 VTY 포트에 액세스 리스트를 적용하면 텔넷으로 들어오는 소스 주소를 제어할 수 있다. Router_C(config)#line vty 0 4 Router_C(config-line)# Router_C(config-line)#access-class 10? in filter incoming connections out filter outgoing connections access-list 10 permit 200.10.10.0 0.0.0.255 //200.10.10.1 ~ 200...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Standard Access List router(config)# access-list access-list-number {permit | deny} [source {source-wildcard}]| any} access list number은 1에서 99 사이의 숫자를 사용한다. 그 다음 permit할 것인지 deny할 것인지 결정. 그 뒤에는 출발지 주소 또는 출발지 네트워크 입력.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생략이 가능하지만 생략시 0.0.0.0인 경우. 출발지 주소 대신 any입력시 모든 주소 포함. 그 다음은 이 엑세스 리스트를 어떤 인터페이스에 적용할까를 결정해야한다. router(config-if)# ip access-group access-list-number {in |out} 위의 명령은 각 인터페이스에 내리는 명령이다. 따라서 프..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네트워크 접근 제어 Access List 네트워크에 액세스, 즉 접근을 하게 해줄까, 말까를 미리 정해놓은 리스트이다. 어떤 녀석에게는 어디만 보여주고, 또 어떤 녀석에게는 어디만 쓰게 해야겠다 하고 정해 놓은 표를 의미한다. 액세스 리스트는 라우터의 문지기라고 생각하면 쉽다. Standard Access List 출입통제를 할 때 출발지 주소만 참고한다. Extended Access List 출발지, 목적지, 프로토콜, 사용 포트 번호 온갖 것들을 본 다음에 통과 여부 Dynamic Access List 액세스 리스트에 걸려서 못들어가는 경우 라우터에서 'Host Unreachable' 출력. 액세스 리스트의 규칙 4가지 윗줄부터 하나씩 차례로 수행된다. 맨 마지막 line에 'permit any'를 넣지 않을 경우는 default로, 어느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OSPF에서 링크 변화 눈치채기, 구성 라우터가 처음 켜지거나 새로 OSPF 라우팅으로 구성되면 그 라우터는 멀티캐스트 주소(네트워크 상의 호스트들이나 다른 장비쪽으로는 전송되지 않는다!)를 이용해서 헬로 패킷을 보낸다 이 헬로 패킷을 이용해서 새로운 라우터는 DR과 BDR 주소를 알게 된다. 이제 새 라우터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링크 정보를 LSA(Link-State Advertisement)에 담아 모든 DR에게 전송한다. (LSA 정보 업데이트 = LSU : Link-State update) 이때 멀티캐스트 주소를 사용하며 모든 DR, BDR에 전송된다. DR에 LSA가 도착하면 BDR은 자신의 타이머를 세팅하고 DR이 새로운 라우터에게서 받은 이 정보를 다른 OSPF 라우터들에게 재전송하는지 기다리게 된다. 즉 감시 역할을 한다. DR..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OSPF 라우팅 프로토콜 OSPF는 IP패킷 안에 프로토콜 넘버 89(10진수)로 들어가게 된다. RIP와 비교해보면 컨버전스 타임 : 정보를 주고 받는 시간. RIP는 30초에 한 번씩 업데이트가 일어나고 홀드다운 타임, 에이징 등 컨버전스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OSPF는 Area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전체 OSPF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기면 바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빠르다. 또한 이 개념으로 네트워크를 작은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하기 떄문에 빠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VLSM을 지원한다. IP주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라우팅 테이블을 줄이는 부수적인 효과 부여. 이를 위해 OSPF는 Route Summarization을 지원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라우팅 경로를 하나로 묶어주는 기능을 한다. RI..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IGRP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다이내믹 프로토콜이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시스코에서 만든 프로토콜이므로 시스코 라우터에서만 사용 가능 다섯 가지 요인을 가지고 가장 좋은 경로를 선택한다. 즉 Bandwidth, 대역폭 속도. 초당 킬로비트로 나타내서 kbps를 단위를 사용. 최적의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들이 참조하는 값을 사용. router_B#conf t router_B(config)#int s 0 router_B(config-if)#band router_B(config-if)#bandwidth ? bandwidth in kilobits router_B(config-if)#bandwidth 56 router_B(config-if)#^Z 이것은 show interface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ro..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distance-vector 라우팅 이 알고리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시간'이다. 한 번 배운 라우팅 테이블을 계속 전달하기 떄문에 업데이트가 모든 네트워크에 전달되는 시간(convergence time)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다. 루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RIP 라우팅 프로토콜 `본사 라우터 interface ethernet 0 ip address 203.240.100.1 255.255.255.0 `부산의 시리얼, 부산과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interface serial 0 ip address 203.240.150.1 255.255.255.0 이더넷과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거로 다른 네트워크 임을 잊지말자. router rip network 203.240.100.0 network 203.240.150.0 RIP 라우팅에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넣어준다고 했으니 본사 라우터의 이더넷 부분과 시리얼 부분을 포함 시키면 된다. 프리빌리지드 모드에서 sh ip protocol시 현재 IP에서 동작하고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보인다. routing protocol is ''rip'' send..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디폴트 라우트 PC방은 62개의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공인 주소를 배정. 인터넷과 연결. 라우터의 서브넷 255.255.255.252는 호스트 2개를 가진다. 전형적인 시리얼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서브넷이다. 왜냐하면 내쪽 인터페이스와 상대방 인터페이스만 연결해주면 되기 때문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스태틱 라우팅을 이용한 라우터 구성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 운영자가 직접 경로를 입력해 주기 때문에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문제가 생기면 운영자가 수정해줄 때까지 기다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경로가 하나밖에 없는 Stub 라우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Stub 네트워크란, 오직 하나의 경로만을 통해서 외부 망과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B의 경우 A와 연결이 끊어지면 다른 대치 경로가 없다. 이럴 경우 B의 트래픽은 A로 행하기 때문에 스태틱 라우팅이 유리하다. Router (config) #ip route network [mask] {address | interface} [distance] Address입력시 상대편 주소 입력 / interface 입력시 자기 라우터 인터페이스 입력. Distance는 이 라우팅 정보의 가..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라우터 구성 모드 셋업 모드를 사용하면 시간도 많이 걸릴 뿐더러 내가 셋업하고 싶은 명령이 없을 수 도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는 Configuration 모드, 구성 모드에서 작업한다. Router#configure ? Memory //NVRAM에 있는 백업 구성 파일을 불러와 덮는다. Network Overwrite-network Terminal 여기서 terminal 옵션을 보통 많이 사용한다. Configure terminal은 라우터의 구성을 콘솔이나 텔넷을 이용해서 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다. 즉 사람이 직접 터미널 앞에 앉아서 명령을 하나하나 입력해 주는 모드이다. Router#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구성모드 Router(config)#enable password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라우터 셋업 모드 맨 먼저 라우터를 처음 구입했다고 가정하면, 그 라우터에 어떤 구성도 되어있지 않다면 라우터는 부팅 후에 바로 셋업모드로 들어간다. 셋업모드란 가장 쉬운 라우터의 세팅 모드이다. 하나하나 질문을 하면서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바탕으로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시작화면이다. 밑에서 두 번째 줄에 보니까 다이얼로그 방식으로 구성하겠냐고 물어본다. Yes시 바로 질문을 통한 구성 방식이 시작된다. 대답을 하면 자동으로 구성 파일 즉, configuration file을 만든다. 이래저래 설정 후 저장하면 다음부터는 셋업 모드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다시 셋업 모드로 다시 들어가고 싶으면 Router# setup 입력.(프리빌리지드 모드) 셋업모드 First would you like to see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라우터의 각종 정보 *show version 라우터의 기본적인 내용,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버전,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종류, IOS가 어디서 부팅했는지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볼 수 있는 명령. 굵은 글자로 표시한 것이 알아두면 편한 것들. IOS ™ 3600 software (C3620-JS-M), version 11.2(14)P => 라우터가 3600 시리즈 라우터이고 IOS버전은 11.2(14)P 버전 System image file is "flash:c3620-js-mz.112-14.P", booted via flash => IOS이미지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이파일의 이름이 바로 c3620-jsmz.112-14.P이다. 1 FastEthernet/IEEE 802.3 interface(s) 4 S..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라우터 구성, 중요한 몇가지 모드, 라우터 내부 콘솔케이블 라우터를 구매하면 콘솔 케이블이 동봉되어있는데 이 케이블을 라우터의 콘솔 포트(라우터 뒷면의 console이라고 쓰여져 있는 포트)에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은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게 되면 콘솔 연결이 된다. 1. 콘솔 연결이 윈도우 7, 10에서는 하이퍼 터미널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콘솔용 프로그램인 Putty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프로그램 실행 전 장치관리자의 열과 포트 번호를 확인해놔야 한다. 맨 위쪽 Serial line이란 곳에 앞에서 장치 관리자를 열어가며 확인했던 COM 포트 번호를 입력. Connection Type는 serial로 선택. 이름 생성 후 open. 2. Telnet을 이용한 라우터 관리를 하면 라우터의 IP주소만 알고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만 되어 있다면 어..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라우터, 라우팅 프로토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하기 위해서,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주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라우터이다. 크게 두가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하나는 경로 결정(Path Determination), 하나는 스위칭(Switching)이다.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해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Routed Protocol :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 TCP/IP, IPX는 고객으로서 라우터라는 자동차를 타고 다른 네트워크로 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Routing Protocol(=라우팅 알고리즘) : 그 자동차를 안전하고 빠르게 운전하는 운전기사. (RIP, IGRP, OSPF, EIGRP) Routing..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VLAN 응용 PC 1과 PC 2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VLAN)에 있기 때문에 비록 같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직접 통신을 할 수 없고 오직 라우터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스위치 구성 모드에서 이름과 Enable 패스워드를 세팅 Switch#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host Switch(config)#hostname Cat2950 Cat2950(config)#enable password cisco Cat2950(config)#^Z Cat2950# `스위치 관리를 위해 VLAN 1에 IP주소를 주고 디폴트 게이트웨이 세팅 Cat2950#configure terminal Cat2950(config)#interface vlan 1 Cat2950(config-if)#ip ad..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VLAN의 구성 도메인 이름 생성 -> VTP모드를 설정 Switch(config)#vtp domain cisco Switch(config)#vtp mode server Switchport명령어 : 각 포트를 VLAN에 배정할 때나 트렁크를 세팅할 때 사용하는 명령. Cat2950(config)#int fa 0/1 Cat2950(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encapsulation dot1q //IEEE 802.1Q 만 지원 Show interface fa0/1 switchport 로 간략한 상태를 확인 가능.ㅣ Show interface trunk 로 스위치 전체에서 트렁크로 세팅된 포트에 대한 간략한 상태를 보여준다. Ex)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Vlan에서의 트렁킹과 VTP 각 Vlan들은 트렁킹이라는 셔틀버스에 자기들의 패킷을 태울 때 각각 이름표를 붙여준다. 이 이름표를 어떻게 붙여주느냐에 따라 트렁킹도 2가지 방식이 있다. ISL 트렁킹 / IEEE 802.1Q ISL : 시스코에서 만든 트렁킹 프로토콜. Native Vlan개념없이 모든 Vlan에 이름표를 붙인다. IEEE 802.1Q : 트렁킹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 Native Vlan : 이름을 붙이지 않는 특별한 Vlan. 이름표를 달지 않았으니 모두 그쪽 Vlan임을 알 수 있고 모든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한 개의 Vlan만을 네이티브 Vlan만을 세팅할 수 있다. VTP(Vlan Trunking Protocol) : 스위치들 간에 Vlan 정보를 서로 주고받아 스위치들이 가지고 있는 Vlan 정보를..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Vlan 이란? Vlan을 사용하게 되면 한 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대의 분리된 스위치처럼 사용하고, 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랜을 이용하면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서로 다를 수 있다. Vlan은 한 대의 스위치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서 사용한다. 스위치가 Vlan으로 나누어지면 나누어진 Vlan 간의 통신은 오직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네트워크를 나눈다'는 의미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눈다는 의미다. 각 스위치별로 3개의 Vlan이 있기 때문에 이 연결 포트를 통해 3개의 Vlan 정보가 한꺼번에 전송되도록 구성했다. 이렇게 하나의 포트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Vlan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를 '트렁..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Mac Address는 어디에? 맥 어드레스를 배우고 저장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스위치의 가장 큰 기능 중의 하나이다. 기본 디폴트는 자동 저장인 'Dynamic'방식이다. 반면 천년만년 지워지지 않도록 맥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방식도 있는데 이것을 'Permanent' 방식이라 한다. 맥 어드레서 테이블을 보고싶다면 Show mac-address-table Switch (config) #mac-address-table static mac-addr vlan vlan-id interface interface-id Vlan은 이 맥 어드레스를 받아들인 쪽의 vlan이고, interface는 이 맥 어드레스를 목적지로 갖는 주소가 들어오면 지금 지정해준 인터페이스 쪽으로 보낸다는 의미다. 지울때는 Clear mac-address-table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Catalyst switch 구성 아무 것도 구성하지 않은 상태를 '디폴트 구성'이라고 한다. 각 포트ㅡ들의 형재상황을 볼 수 있는 명령은 show interface status이다.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 Duplex는 통신 방식이며 half, full로 나눠진다. Vlan 1이 디폴트 vlan이다. Ip adress ? 0.0.0.0 10/100의 포트의 상태? Speed = Auto Duplex = Auto Spanning Tree의 상태? Enable 패스워드? 없음 위 상태가 디폴트 값이다. 스위치를 구성하려면 먼저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가 나타난다 Switch> Switch> 이렇게 '>' 표시..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스패닝 트리 재편성 Hello Time : 루트 브리지가 얼마 만에 한 번 씩 헬로 bpdu를 보내는지에 대한 시간. 즉, 루트브리지는 자신에게 연결된 브리지들에게 헬로 BPDU를 헬로타임마다 한 번씩 보내게 되는데, 디폴트 헬로타임은 2초다. Max Age : 브리지들이 루트 브리지로부터 헬로패킷을 받지 못하면 맥스 에이지 시간 동안 기다린 후 스패닝 트리 구조 변경을 시작한다. 즉 맥스 에이지란 브리지들이 루트 브리지로부터 얼마 동안 헬로패킷을 받지 못했을 때 루트 브리지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스패닝 트리를 만들기 시작하는가에 대한 시간. 디폴트로는 20초 Fowarding Delay : 브리지 포트가 블로킹 상태에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갈 때 걸리는 시간. 여기서 중요한 점은 블로킹 포트에서 리스닝 상태로 넘어간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스패닝 트리 포로토콜의 5가지 상태 변화 Disabled : 포트가 고장나서 사용할 수 없거나 네트워크 관리자가 포트를 일부러 shut down 시켜놓은 상태. Blocking : 스위치를 맨 처음 켜거나 disabled되어 있는 포트를 관리자가 다시 살렸을 때 그 포트는 블로킹 상태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는 데이터 전송은 되지 않고 오직 BPDU만 주고받을 수 있다. Listening : 블로킹 상태에 있던 스위치 포트가 루트 포트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로 선정되면 포트는 바로 리스닝 상태로 넘어간다. 만약 구성 변화로 포트 상황 변화시 blocking으로 다시 돌아간다. Learning : 리스닝 상태에 있던 스위치 포트가 포워딩 딜레이 디폴트 시간인 15초로 넘어가면 러닝 상태로 넘어가고 비로소 맥 어드레스를 배워 맥 어드레스 테이블을 만..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 Designated port 뽑기 세그먼트 상에서 root path cost를 서로 비교해서 더 작은 root path cost를 가진 포트가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로 선출된다. 여기서 세그먼트-3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선출은 1단계~4단계 법칙 적용해서 풀어본다. 그러면 스위치B의 E1이 데지그네이티드 포트가 되고 나머지 스위치c의 e1은 non designated port가 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2. 1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