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 라우팅 프로토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하기 위해서,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주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라우터이다. 크게 두가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하나는 경로 결정(Path Determination), 하나는 스위칭(Switching)이다.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해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Routed Protocol :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 TCP/IP, IPX는 고객으로서 라우터라는 자동차를 타고 다른 네트워크로 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Routing Protocol(=라우팅 알고리즘) : 그 자동차를 안전하고 빠르게 운전하는 운전기사. (RIP, IGRP, OSPF, EIGRP)
Routing table : 운전기사가 있으면서 어떤 길이 가장 좋은 길인지 메모해 두는 이정표 같은 것.
라우팅 프로토콜
- Static Routing Protocol
한 번 정해놓으면 죽으나 사나 정해진 그대로 수행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사람이 일일이 경로를 입력해주는 것. 시키는 대로 하기 때문에 이정표도 많이 가지고 있을 필요 없고 빨라지고 라우터 성능도 좋아지게 된다. 메모리도 적게 들며 보안에도 강하다. 하지만 사람이 일일이 목적지별로 경로를 넣어줘야 하니까 손이 많이 가고 입력해준 경로에 문제가 발생한면 큰일이 난다.
2. Dynamic Routing Protocol
상황에 따라서 그때그때 변화가 가능한 프로토콜을 말한다. 입력해 준대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면 되는 것. 사람이 일일이 경로 입력을 해줄 필요가 없다. 라우터가 알아서 가장 좋은 길을 찾아가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라우터에 부담을 준다.
Autonomous System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라우터들의 집단. 또 어떤 의미로는 하나의 관리 규정 아래서 운용되는 라우터의 집단 또는 하나의 관리 전략으로 구성된 라우터 집단. 한 회사나 기업 또는 단체의 라우터 집단. KT, SKT가 보유하고 있는 라우터는 한 두대가 아니며 이렇게 ISP들이 보유하고 있는 라우터 그룹이 하나의 as가 된다.
라우터들을 다시 AS라는 그룹으로 묶어주는 이유는 라우터가 가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좀 더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라우터가 AS 내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interior Routing Protocol이라 하며 외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exterior Routing Protocol이라한다.
IRP : RIP, IGRP, EIGRP, OSPF
ERP : EGP, BG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