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CCNA

VLAN의 구성

Hard_Try 2020. 2. 18. 22:17

도메인 생성 -> VTP모드 설정

 

Switch(config)#vtp domain cisco

Switch(config)#vtp mode server

 

Switchport명령어 : 포트 VLAN정할 때나 트렁크를팅할 용하는 명령.

 

Cat2950(config)#int fa 0/1

Cat2950(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encapsulation dot1q //IEEE 802.1Q

 

Show interface fa0/1 switchport 간략한 상태를 확인.

 

 

Show interface trunk 스위치 전체에서 트렁크로 세팅된 포트에 대한 간략한 상태를 보여준다.

Ex)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Fa0/1

 

On

 

802.1q

 

Trunking

 

1

 

Vlan 어떻게 포트에 배정되어 있는지를 보기 위한 명령은 show vlan이다.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1

 

Default

 

Active

 

Fa0/2, fa0/3, fa0/4, ***

1002

 

Fddi-default

 

 

 

active

복잡하지만 그냥 디폴트로는 vlan1 모두 속해 있다는 것이다.

Fa0/1 트렁크로 세팅되어있어서 VLAN1 보이지 않는다.

 

`내가 가진 스위치가 최대 개의 VLAN 만들 있는지를 보려면 show vtp status

 

`VLAN configuration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config-vlan으로 구성하는 방식이 신세대적인 방법이기에 이걸로 연습하자

 

Cat2950#configure terminal //configuration 모드 진입

Cat2950(config)#vlan 2 //vlan2생성 config-vlan 모드 진입

Cat2950(config-vlan)#name CCNA

Cat2950(config-vlan)#^Z //ctrl+Z(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나오는 명령)

Cat2950#

 

`지울 때는

Cat2950(config)#no vlan 2

 

` 과정에서 vlan 만들고 지우는 과정을 4번을 거쳤다면

VTP Revision 넘버는 4 된다. 만일 Transparent 모드였다면 0이다.

 

`Fa0/5포트를 vlan2 배정하기

Cat2950#configure termianal

Cat2950(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5

Cat2950(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 //[vlan vlan# | dynamic(유동일 경우)]

Cat2950(config-if)#^Z

Cat2950#

 

`show vlan 보다 간단한 정보를 보려면 show vlan brief

 

`default vlan num : 1, 1001, 1002, 1003, 1004,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