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Engineer
라우터 셋업 모드 본문
맨 먼저 라우터를 처음 구입했다고 가정하면, 그 라우터에 어떤 구성도 되어있지 않다면 라우터는 부팅 후에 바로 셋업모드로 들어간다.
셋업모드란 가장 쉬운 라우터의 세팅 모드이다. 하나하나 질문을 하면서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바탕으로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시작화면이다. 밑에서 두 번째 줄에 보니까 다이얼로그 방식으로 구성하겠냐고 물어본다. Yes시 바로 질문을 통한 구성 방식이 시작된다. 대답을 하면 자동으로 구성 파일 즉, configuration file을 만든다. 이래저래 설정 후 저장하면 다음부터는 셋업 모드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다시 셋업 모드로 다시 들어가고 싶으면
Router# setup 입력.(프리빌리지드 모드)
셋업모드
First would you like to see the current interface summary [yes] :
Interface |
IP-Address |
OK? |
Method |
Status |
Protocol |
현재 라우터의 정보
Configuring global parameters:
글로벌 파라미터, 즉 일반적인 세팅을 하는 단계.
유저모드에서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넘어가는 암호. 라우터의 모든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프리빌리지드 모드, 즉 운영자 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Enable secret :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들어갈 때 가장 먼저 물어보는 암호. 이 암호는 나중에 Encryption되어 암호화된다.
Enable password : 구성 파일에서 보면 내가 원래 입력했던 값이 그대로 보인다.
Enable secret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enable password값을 물어본다.
*둘은 같은 값으로 설정할 수 없다.
Enter virtual terminal password [ ]: korea
Configure SNMP Network Management? [no] :
텔넷을 하고 들어갈 때 물어보는 패스워드. 썼던 패스워드 설정 가능.
SNMP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상관있다. 필요없을 경우 디폴트가 NO이므로 Enter.
IP세팅 여부.
IP 라우팅에 사용할 라우팅 프로토콜 여부. (IGRP를 사용하는지 여부)
번호는 AS 번호이다. 나중에 설명. 일단 200 설정.
IPX 라우팅 프로토콜인 Novell을 사용한다고 세팅.
여기서부터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세팅.
먼저 이더넷 인터페이스. 현재의 로컬 너트워크에 붙이는 인터페이스. 게임방에 있는 허브나 스위치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가 바로 이더넷 인터페이스. 인터넷 제공업체에게 공인 IP주소를 받았다면 바로 이 이더넷 인터페이스에 저장해 주어야 한다.
서브네팅을 하지 않을 시에 서브넷 필드값을 0으로 해주면 되고 만약 B클래스를 C클래스인 255.255.255.0으로 지정시 8비트 만큼 늘어났기 떄문에 8입력.
서브넷 마스크를 직접 사용하는 IOS버전도 있다.
IPX의 경우에 IPX번호만 넣어주면 모든 세팅이 끝나기 때문에 IP에 비해 훨씬 수월하다.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대한 세팅. 외부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즉 전용선과 연결된 포트. 인터넷과 연결되는 포트. 이더넷 네트워크와 시리얼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여야 하고 우리 라우터의 시리얼 0 인터페이스와 상대방 라우터의 시리얼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어야 한다. 상대방 서브넷이 152.100.0.0 으로 동일 해야하고 IP는 달라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구성이 끝나고 구성 결과를 보여준다.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틱 라우팅을 이용한 라우터 구성 (0) | 2020.02.18 |
---|---|
라우터 구성 모드 (0) | 2020.02.18 |
라우터의 각종 정보 (0) | 2020.02.18 |
라우터 구성, 중요한 몇가지 모드, 라우터 내부 (0) | 2020.02.18 |
라우터,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