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Engineer
스태틱 라우팅을 이용한 라우터 구성 본문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 운영자가 직접 경로를 입력해 주기 때문에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문제가 생기면 운영자가 수정해줄 때까지 기다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경로가 하나밖에 없는 Stub 라우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Stub 네트워크란, 오직 하나의 경로만을 통해서 외부 망과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B의 경우 A와 연결이 끊어지면 다른 대치 경로가 없다. 이럴 경우 B의 트래픽은
A로 행하기 때문에 스태틱 라우팅이 유리하다.
Router (config) #ip route network [mask] {address | interface} [distance]
Address입력시 상대편 주소 입력 / interface 입력시 자기 라우터 인터페이스 입력.
Distance는 이 라우팅 정보의 가치. 커질수록 가치는 떨어진다.
목적지 네트워크는 150.150.0.0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 255.255.0.0
Address는 목적지 네트워크인 150.150.0.0
Interface는 1홉을 건너뛴 IP주소, 즉 A라우터에서 한 라우터 넘어간 B라우터의 serial 0 int
Ip route 150.150.0.0 255.255.0.0 203.210.100.1
*전체적인 흐름
Router>enable
Router#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outer_A
Router_A(config)#enable password cisco
Router_A(config)#int e 0
Router_A(config-if)#no shutdown
Router_A(config-if)#ip addr 210.240.10.1 255.255.255.0
Router_A(config-if)#int s 0
Router_A(config-if)#no shutdown
Router_A(config-if)#ip addr 203.210.100.2 255.255.255.0
Router_A(config-if)#exit
Router_A(config)#ip route 150.150.0.0 255.255.0.0 203.210.100.1
Router_A(config)#^Z
Router_A#write memory
`
`
`
[OK]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P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0.02.18 |
---|---|
디폴트 라우트 (0) | 2020.02.18 |
라우터 구성 모드 (0) | 2020.02.18 |
라우터 셋업 모드 (0) | 2020.02.18 |
라우터의 각종 정보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