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Engineer

라우터 구성, 중요한 몇가지 모드, 라우터 내부 본문

Network/CCNA

라우터 구성, 중요한 몇가지 모드, 라우터 내부

Hard_Try 2020. 2. 18. 22:25

콘솔케이블

 

라우터를 구매하 콘솔 케이블이 동봉되어있는데 케이블을 라우터 콘솔 포트(라우터 뒷면의 console이라고 쓰여져 있는 포트)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은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게 콘솔 연결이 된다.

 

1. 콘솔 연결이 윈도우 7, 10에서 하이퍼 터미널을공하지 않기문에 콘솔용 프로그램인 Putty 검색해서운로드. 프로그램 장치관리자의 포트 번호 확인해놔야 한다.

위쪽 Serial line이 곳에 앞에서 장치 관리자를 열어가며 확인했던 COM 포트 번호 입력. Connection Type serial 선택. 이 생성 open.

 

2. Telnet용한 라우터 관리를 라우터 IP주소 알고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만 되어 있다면 어디에서도 구성이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똑같은 상황에서 네트워크 되지 않는 환경에 처해있다면 AUX포트 통한속을 한다.

 

3. 네트워크 관리 시스(NMS) 라우터 구 방법은 그래 방식이기문에 쉽고 여러가지 다 정보도 많이 있게 된다.

 

4. TFTP 서버에 의 라우터 구성은 이미 다 곳에서 만들어 놓은 라우터일을 TFTP 서버에 저장해었다가 라우터로 다운로드해 방식을한다.

 

모드

1. RXBOOT 모드

평소에는용하지 않는다. 라우터 패스워드 모르 경우나 라우터 이미지 파일에 문제가 생긴 경우 복구를 위해 사용한다. , 문제발생시 복구 모드이다.

 

2. 셋업 모드 

라우터 구매해서 파워 켰거나 라우터에 구일이 없는 경우 라우터가 부팅하면서동으로 들어가는 모드.

 

3. 유저 모드 

'>' 있는 모드

Router>

테스트, 트레이스 등을 있으며일을 본다거나 자체 변경할 수는 없다.

 

4. 프리빌리지드 모드 

유저 모드에서 enable이라 명령을용하는

Router#

명령의 제약이 없음. Disable 다시 유저 모드로 나 있음.

Exit으로 유저모드에서도 나 있음.

 

5. 모드 

라우터일을 변경하는 경우에용하는 모드. 보 Config 모드라고 하며 우리가 만들어야 일을곳에서 만든다.

Router>

Router>enable

Password : ********

Router#

Router#config terminal

Router(config)# //구성모드

Router(config)#^Z

Router#                            //exit 단계별로 ^Z 번에

 

라우터 내부

 

  1. RAM : 운영체제가 올라라고 음은 라우 테이블이 들어간다. 라우 프로토콜을을 어떤 것을용하는가 어떤 용도를용하는가에 따라 라우 테이블의 크기 차이가 나며 것이질수록 많은 램을 차지한다. 하지발성질문에일들 같이 지워지 큰일나는 것들을 백업하기 필요한 것이 필요하다.
  2. NVRAM : 비휘발 메모리. 라우 테이블은 백업할 필요가 없다. 유동적인 정보이고 다시 만드는데 정도밖에 걸리지 않기문이다. 구일을장하는 곳이 바로 NVRAM이다. Show config입력시장된일을 있으며 램에장된일을 명령은 show running-config / write terminal이다.
  3. Flash Memory : 운영체제인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미지 파장용으로 쓰이기 때문에 NVRAM보다 용량을 가지며 비휘발성이다.
  4. ROM : 라우터 기본적인, 파워가 켜지 어떤 순서로 라우터 스스로 상태를 점검하고 어디서 운영체제를 가져다가 메모리에 올릴 것인지 등을 적어 놓는다.  PC CMOS 같은 .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셋업 모드  (0) 2020.02.18
라우터의 각종 정보  (0) 2020.02.18
라우터, 라우팅 프로토콜  (0) 2020.02.18
VLAN 응용  (0) 2020.02.18
VLAN의 구성  (0) 2020.02.1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