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CCNA

Switch & Bridge

Hard_Try 2020. 2. 18. 21:59

Switch

허브에 연결된 pc에서 발생하는 콜리전이 cp들에도 영향을 콜리전 도메인이 허브에 연결된 pc들이다. 콜리전 도메인이 커져버리 영향을 받는 pc 너무 많아지면서 통신의 속도가 점점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하기 위해 브리지, 스위치가 등장했다.

 

1번과 2 컴퓨터가 통신을 하고 있으면 나머지 모 컴퓨터들은 기다려야 허브와 달리 컴퓨터도 동시에 통신이능하다. 이것이 스위치 허브 차이이다.

 

Bridge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고 통신량이 증가할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주기 위해 브리지용해야 한다. 브리지 허브로 만들어진 콜리전 도메 사이 반으로 나누고 중간에 다리 놓는다.

 

두 장비의 기능

  1. Learning

맥어드레스를운다. pc 통신을 하게 되 이더 성질에 따라 모 장비가 프레임을 받게 되고 어디서 출발 것인지를 확인한다. 브리지가 관리하는 브리지 테이블에 정보를넣습니다.

   

   2. Flooding

 

들어온 포트 제외 나머지 포트로 뿌리 것을 의미한다.

 

1111에서 5555에게 통신을 하려고 프레임을냈으나신의 테이블에 없는 것을 확인 신의 포트 뿌리게 된다.

   

    3. Forwarding

 

브리지가 목적지의 어드레스신의 브리지 테이블에 가지고 있고. 목적지가발지의 어드레스그먼트에 존재하 경우 일어난다.

쉽게 말해 위 그림경우에서 어드레스 테이블에 5555정보가 들어있어서 있는 세그먼트로 넘겨주는 것을한다.

 

    4. Filtering

 

브리지 넘어가게 막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브리지가 목적지의 어드레스 알고 있고발지와 복적지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이다. 경우 브리지 건너가지 않아도 통신이 일어날 있기문에 다리 막는 필터링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 문에 허브와 다르게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있는 것이다.

 

    5. Aging

 

어드레스 평생동안억할 없다. 그러므로 디폴트로 5분으로 간만큼이 지나게 되 브리지 테이블에서 삭제시킨다.

에이 중인 에드레스가 다시 브리지로 들어오게 에이 타이머셋합니다. 이 'refresh'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