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 43
2030 Engineer
통신을 7개의 단계별로 표준화하여 그 효울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물리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 세션계층 - 프레젠테이션(표현 계층) - 응용계층(어플리케이션 계층) 이 계층을 보면 데이터의 흐름이 한 눈에 보이고 문제를 해결하기 편리해진다. Layer 1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통신단위는 비트이며 1,0 on,off 상태. 케이블, 리피터, 허브 Layer 2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통신단위는 프레임. 브리지, 스위치 Layer 3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 이것을 라우팅이라 한다.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
유니캐스트 : 출발지와 목적지의 MAC주소를 프레임안에 써넣는 형식 보내는 사람이 주소를 적고 우체통에 넣는 방식이다. 브로드캐스트 : 로컬 랜에 붙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게 보내는 방식. 동네 이장님이 방송을 해서 여러사람을 모으는 방식. 그리고 이 IP주소를 가진 사람 누구냐고 물어봤을때 나야! 하고 나오는 사람 찾는 방식. 이 과정을 ARP과정이라고 한다. 브로드 캐스트의 문제는 자신의 맥 어드레스가 'A'이지만 브로드캐스트로 ffff를 받으면 그 프레임을 버리지않고 지금 하던 일을 멈추고 CPU에게 전달해준다. 이과정을 인터럽트라고 하며 이 때문에 PC는 느려진다. 멀티캐스트 : 150명의 사용자에게 같은 정보를 보내야할 때 주로 쓰인다. 유니캐스트로 하자니 일이 많아지고 트래픽증가가 유려되..

Ip주소를 사용하니까 이 주소만 있으면 모든 통신이 일어날 것 같지만 사실은 ip 주소가를 MAC으로 바꾸는 절차(이 과정을 ARP : Address Resoultion Protocol이라 한다)를 밟고 있다. Cmd에서 ipconfig/all입력 후 physical adress가 자신의 맥 어드레스이다. 맥어드레스는 48비트이며 우리가 보통 아는 주소는 16진수로 되어있다. 0060.978F.4F86과 같이. 여기서 앞 6개의 16진수는 생산자(OUI)를 나타내는 코드 즉, 회사 고유 넘버이며, 뒤 6개의 16진수는 장비에 분배하는 host identifier 즉, 시러얼 넘버이다. Host1이 Host2에게 통신을 하려고 할 때 host1에서 내보내는 목적지의 주소 정보에는 라우터가 대신 MAC어드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