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Engineer
Catalyst switch 구성 본문
아무 것도 구성하지 않은 상태를 '디폴트 구성'이라고 한다. 각 포트ㅡ들의 형재상황을 볼 수 있는 명령은 show interface status이다.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
Duplex는 통신 방식이며 half, full로 나눠진다.
Vlan 1이 디폴트 vlan이다.
Ip adress ? 0.0.0.0
10/100의 포트의 상태? Speed = Auto Duplex = Auto
Spanning Tree의 상태? Enable
패스워드? 없음
위 상태가 디폴트 값이다.
스위치를 구성하려면 먼저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가 나타난다
Switch>
Switch>
이렇게 '>' 표시가 나오는 상태를 '유저모드'라고 한다. 유저모드에서는 스위치의 상태 보기만 가능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구성을 확인하고 변경하고 변경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리빌리지드(Privileged)모드에 들어가야 한다.
Switch>
Switch>enable
Password :*********
이렇게 프리빌리지드 모드에 들어가게 된다. 처음에는 패스워드를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물어보지 않는다. 디폴트 구성에는 패스워드가 없다.
Switch#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들어오면 프롬프트가 '꺽쇠(>)에서 '샵(#)'으로 빠뀐다. 이게 바로 운영자 모드이다. 우리가 해주어야 할 것은 스위치의 IP 주소 세팅이니 구성을 변경해줄 수 있는 '구성 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N/Z.
Switch (config)#
구성모드에 들어왔으니 IP주소를 세팅할 차례이다.
Switch (Config) #interface valn 1 <-구성모드에서 vlan 인터페이스 모드를 들어가는 명령
Switch (config-if)#ip address 192.168.100.1 255.255.255.0
Ip주소를 192.168.100.1로 세팅하고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으로 세팅.
Switch (config-if) #exit
Switch (config) #exit
Switch#
Switch#show interface vlan 1 입력시 구성된 ip주소를 볼 수 있다.
같은 네트워크에서는 디펄트 게이트웨이 없이도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네트워크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디폴트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디폴트 게이트웨이란, 한마디로 라우터의 주소이다. 즉 이 스위치가 붙어있는 라우터 인터페이스의 IP 주소가 디폴트 게이트웨이가 된다.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Switch (config) #ip default-gateway 192.168.1.1
Switch (config) #
Switch(config) #exit
Switch#
디폴트 게이트웨이 구성은 vlan 인터페이스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일반 구성 모드에서 한다. 여기 까지 구성하면 스위치는 네트워크에서 관리가 가능하다.
Duplex는 auto로 되어있는 것이 디폴트 값이다. 따라서 스위치에서 따로 구성해 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스위치 포트에 접속하는 상대방의 속도에 따라 맞춰지기 때문에 별 문제 없다.
Switch#configure terminal
Switch (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1
Switch (config-if) #speed 10
Switch (config-if) #duplex half
Switch(config-if) #exit
Switch(config) #exit
Switch#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이란? (0) | 2020.02.18 |
---|---|
Mac Address는 어디에? (0) | 2020.02.18 |
스패닝 트리 재편성 (0) | 2020.02.18 |
스패닝 트리 포로토콜의 5가지 상태 변화 (0) | 2020.02.18 |
Designated port 뽑기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