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Engineer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 본문
브리지 ID : 브리지나 스위치들이 통신할 때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씩 가지고 있는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
Bridge priority가 맨 앞에 오고 그 뒤에 MAC address가 온다.
0 부터 2^12-1 만큼의 수를 가지며 그 중간인 32768이 디폴트이다.
작을 수록 우선순위가 증가
Path cost : (길을 가는 데 드는 비용) 브리지가 얼마나 가까이, 그리고 빠른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값.
IEEE 802.1D에서는 1,000Mbps를 두 장비 사이의 링크 대역폭으로 나눈 값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두 스위치가 10Mbps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path cost는 100이다. 다시 말해, path cost는 대역폭이 빠르면 빠를 수록 거 작은 값이 된다.
코스트는 누적되면 만약 A에서 C까지 넘어걸 때 B를 거쳐간다면 B의 코스트도 합산하여 누적된다.
빨라지는 대역폭 때문에 소수점이 나오기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stp 값으로 환산한다.
3가지 기본적인 동작을 이해하자.
1.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를 갖는다.
루트브리지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브리지(스위치)이다.
2.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를 갖는다.
루트 포트란 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이다. 이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는 non root bridge가 된다.세그먼트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갖는다.
3. 세그먼트란 브리지 또는 스위치 간에 서로 연결된 링크이다.
이 세그먼트에서 반드시 한 포트는 designated port로
선출되어야 한다. 이 포트를 뽑는 이유는 어떤 포트를 살릴지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Network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ignated port 뽑기 (0) | 2020.02.18 |
---|---|
STP에서 힘 겨루기 (0) | 2020.02.18 |
Subnet Mask (0) | 2020.02.18 |
IP (0) | 2020.02.18 |
라우팅? 스위칭? (0) | 2020.02.18 |